SHREPA STUIDO's profile

Pyunkangyul flagship store



편강율 코스매틱은 비움으로 아름다움을 채우다 라는 슬로건을 가지고, 
인위적인 성분을 최소화하고 자연으로부터 온 성분을 가지고 피부 본연의 건강한 아름다움을 찾는 한방 스킨 케어 브랜드입니다.  
서울시 북촌에 위치한 편강율 플래그쉽 스토어에서 한국 전통의 요소를 담아 현대적으로 해석해 편강율의 건강한 아름다움을 전달하고자 했습니다. 

Pyunkangyul Cosmetics has the slogan, “Filling beauty with emptiness.” It is an herbal medicine skin care brand that minimizes artificial ingredients and uses ingredients from nature to find the skin's natural healthy beauty. At Pyunkangyul’s flagship store located in Bukchon, Seoul, we wanted to convey the healthy beauty of Pyunkangyul by incorporating elements of Korean tradition and interpreting them in a modern way. 

첫 번째로 담장을 세워 들어가는 길을 더 길게 만들어 건축적 산책을 통한 브랜드 몰입을 유도합니다. 
진입로에 있는 디딤석은 기존 마당에 있던 석재를 작게 조각내서 재사용의 가치를 살렸습니다.  

First, by building a fence and making the entrance path longer, we encourage brand immersion through an architectural walk. 
The stepping stones in the driveway were made from stones from the existing yard, cut into small pieces to maximize the value of reuse.

외부 파사드에서는 대청마루에 앉아 처마 밑에서 자연과 공존하면서 편안한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경험적 요소 통해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를 표현합니다. 이는 동양 건축의 특징과 관통하는 지점이기도 합니다. 

The external façade uses experiential elements to allow people to feel comfortable while sitting on the main floor and coexisting with nature under the eaves.Expresses the values ​​pursued by the brand. This is also a point that pene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oriental architecture.
편강율 플래그십 스토어에서 대부분의 소재는 자연으로부터 온 소재를 사용합니다. 
소재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브랜드 정체성을 보여주고 오감을 통해 느낄 수 있도록 의도했습니다. 
황동 주물 작업을 통해 만든 풍종, 현판, 손잡이는  청각 - 시각 - 촉각으로 가장 첫 번째로 공간의 언어를 보여줍니다. 


Most of the materials used in Pyunkangyul’s flagship store come from nature.The intention was to indirectly show the brand identity through the material and allow it to be felt through the five senses.Wind bells, plaques, and handles made through brass casting work first demonstrate the language of space through auditory, visual, and tactile senses.
1F 내부로 들어서서 리셉션을 통해 먼저 안내받고, 제품을 자유롭게 사용하고, 전시 공간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선을 기획했습니다. 

1F naebulo deul-eoseoseo lisebsyeon-eul tonghae meonjeo annaebadgo, jepum-eul jayulobge sayonghago, jeonsi gong-gan-e cham-yeohal su issdolog dongseon-eul gihoeghaessseubnida.
The route was planned so that upon entering the 1st floor, you would first be guided through the reception, use the products freely, and participate in the exhibition space.


메인 디스플레이 에는 우물반자의 형태 바리솔 조명이 포천석로 만들어진 메인 디스플레이를 비춰줍니다. 이는 우물의 형태를 차용했습니다. 
그 건너에 보이는 벽면과 리셉션 에는 자개가 섞인 천연 흙미장을 했습니다. 
흙미장 안에 제품들이 나열되어 있는데 이는 자연으로부터 온 제품을 간접적으로 전달합니다.

In the main display, a well-shaped barisol light illuminates the main display made of Pocheon stone. It adopts the shape of a well.The wall across from it and the reception area were plastered with natural clay mixed with mother-of-pearl. 
Products are listed in the clay plaster, which indirectly conveys products from nature.
또 내부에 있는 창호들은 전통 창호 패턴을 차용한 간살도어를 사용했습니다. 
볕이 좋을 땐 전체를 개방해 자연과 공존할 수 있도록 내 외부의 경계를 없앴습니다.
안쪽에는 산수화 기법을 통한 패브릭, 궁중에서 쓰던 병풍을 통해 한국적인 멋을 담은 전시 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In addition, the windows inside were made of gansal doors, borrowing traditional window patterns. When the sun is good, the entire area is open and the boundaries between inside and outside have been removed so that we can coexist with nature. Inside, there is an exhibition space containing Korean style through fabrics using landscape painting techniques and folding screens used in the royal palace.​​​​​​​
충분히 제품을 체험하고, 편강율의 헤리티지를 경험한 후 내부 계단을 통해 2F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이 계단을 기존 건물이 가지고 있던 계단을 그대로 수용했습니다. 
또 2F -3F 으로 올라가는 일부 벽면은 기존 벽면의 철거 벽면을 그대로 노출 했습니다. 
건물이 가지고 있는 레거시를 그대로 보존하고 지속하는 일입니다. 
꾸밈으로 낼 수 없는 날 것이 가진 매력과 새로 만드는 것들이 자연스럽게 공존하게 하는 것이 셰르파에서 추구하는 지속 가능성 입니다. 


After fully experiencing the product and the heritage of Pyunkangyul, you will go up to the 2nd floor through the internal stairs.This staircase was adapted from the existing building's staircase.Also, some of the walls going up to the 2nd and 3rd floors exposed the demolished walls of the existing walls.It is about preserving and continuing the legacy of the building.The sustainability pursued by Sherpa is to allow the charm of the raw, which cannot be embellished, to naturally coexist with new products.​​​​​​​
2F 에서는 현대적으로 편강율의 브랜드 정체성을 해석했습니다. 바닥은 우물마루의 형태에서 차용해 패턴을 주고
그대로 이어져 리셉션과 제품 테이블까지 제작했습니다. 
그 뒤로 스텐 폴리싱 선반에 제품이 나열되어 있는데 기둥과 선반들이 외부에 있는 자연들을 반사하고, 
시각적으로 자연 안에 제품들이 들어와 있을 수 있도록 의도 했습니다. 

2F interpreted Pyunkangyul’s brand identity in a modern way. The floor is patterned using the shape of a well.We continued to produce the reception and product tables.After that, products are listed on stainless steel polishing shelves, and the pillars and shelves reflect the nature outside,The intention was to visually place the products within nature.​​​​​​​
 천정에 달린 조명은 초롱 등의 형태를 차용한 제작 조명입니다. 이 초롱등이 편강율 플래그쉽 스토어를 안내합니다. 
polyvinyl alcohol 소재와 한지를 결합해 만들었습니다.이들은 물이 닿으면 사라지는 소재입니다. 
기능을 다하면 자연으로 돌아간다는 환경에 대한 메세지를 가지고 순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The lights hanging from the ceiling are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lanterns. This lantern guides you to Pyunkangyul’s flagship store.It is made by combining polyvinyl alcohol material and Korean paper. These are materials that disappear when exposed to water.It plays a role in circulation with a message about the environment that it returns to nature when its function is complete.​​​​​​​
안쪽 공간에서는 자개를 통해 전시 공간과 체리 원목으로 만든 제작가구 및 전통가구에서도 편강율의 헤리티지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B1층에서는 전 제품들에 들어간 성분과효능을 알 수 있도록 전시를 해두었습니다. 편강 한의원에 철학과 역사를 느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습니다. 
또 루프탑은 경북궁이 한 눈에 들어오는 루프탑에서는 한국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편히 쉼을 얻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In the inner space, you can experience Pyunkangyul's heritage in the exhibition space through mother-of-pearl, as well as furniture made from cherry wood and traditional furniture. On the B1 floor, there is an exhibition so that you can learn about the ingredients and effects of all products. At Pyunkang Oriental Medical Clinic, we have created a space where you can feel philosophy and history. In addition, the rooftop allows guests to feel the beauty of Korea and take a comfortable rest from the rooftop, where Gyeongbuk Palace can be seen at a glance.
Pyunkangyul flagship store Mock up
Pyunkangyul flagship store
Published:

Pyunkangyul flagship store

Published:

Creative Fields